전체목록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허리디스크의 경고(VOC)를 무시하지 마세요 CONTACT:IPOSTURE@IPOSTURE.NET 허리디스크의 경고(VOC)를 무시하지 마세요 세수를 하다가 또는 구두 끈을 묶다가 갑자기 허리가 삐끗해서 자리에서 못 일어나 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앉아서 업무를 보는데 갑자기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저려서 걱정되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렇게 허리가 아프면 대부분 참아봅니다. 그렇게 참다가 괜찮아지면 똑같이 생활하고, 심하게 아프면 그제서야 병원에 갑니다. 문제는 참다가 괜찮아진다고 하더라도 실제 허리상태가 좋아진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통증은 몸의 경고신호입니다. 통증이 발생되면 마치 몸에서 "너 지금 여기가 잘못되어 있어. 그러니 이 부분을 개선해줘"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허리가 아프다면 허리 기능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뜻이고 그것.. 더보기 일자목과 거북목을 구분하세요 일자목과 거북목을 구분하세요 모니터를 오랫동안 들여다보고 있으면 머리가 점점 앞으로 나가면서 목 뒤나 어깨가 뻐근해 집니다. 그러다가 병원에 가서 엑스레이를 찍어보면 거북목이다 또는 일자목이다라는 진단을 받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일자목과 거북목을 같은 증상으로 여기는 경우가 있는데요. 오늘은 일자**목과 거북목의 차이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일자목은 경추 곡선의 관점에서 이야기합니다. 목의 곡선이 잘 유지되는가 아닌가가 기준이 되지요. 곡선이 너무 없거나 반대로 꺽이게 되면 그 자체로 일자목이라고 이야기합니다. 목의 곡선이 일자가 되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겉으로 보았을 때 자세가 바르게 보여도 목 안에서 척추의 곡선이 일자면 일자목이라고 진단합니다. 그래서 영어로도 Straigh.. 더보기 쉽게 익히는 바르게 서기1-보이지 않는 상자 오늘은 바르게 서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위 그림에 왼쪽이 바르게 선 사람이고 오른쪽은 바르지 않게 선 사람입니다. 이 두 그림에 숨어있는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보이지 않는 상자 바른 자세와 바르지 않은 자세의 결정적인 차이는 상자 쌓기와 비유할 수 있습니다. 바르지 않은 자세는 골반은 앞으로 등은 뒤로 머리는 앞으로 나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자 쌓기가 바르게 이루어지려면 아래에서부터 잘 쌓아 올라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신이 거북목을 가지고 있는데, 목만 집어넣으려고 노력한다면 잘못 쌓여져 있는 아래 상자를 놔둔채 마치 맨 위의 상자만 집어 넣으려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어짜피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맞지 않기 때문에 머리는 다시 앞으로 나오게 마련입니다. 목을 바르게 .. 더보기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41 다음